명왕행촉도
745년, 당의 현종 황제(재위 712–756년)는후궁이었던 양귀비와 사랑에 빠져 정사를 등한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33년간의 선정을 베푼 후의 일입니다. 양귀비가 총애하던 안록산 장군이 755년 반란을 일으켰을 때 양귀비는 책임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현종 황제는 수도 서안에서안전한 촉(사천성)으로 도피할 것을 강요받았으며, 양귀비의 처형을 요구하는 반란군과 대적하게 되었습니다. 현종은 마지못해 이에 동의하고 양귀비의 처형 장면을 공포와 수치에 떨며 지켜보았고, 그 후 얼마 안 되어 퇴위당하였습니다. 이 회화는 양귀비 처형 후 침울한 황제의 수행원들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인물들은 당의 의복을 입고 있지만 입체감 있는 형태와 안개가 자욱한 대기를 복잡하게 묘사한 풍경 양식은 12세기 중엽에 이 회화가 제작되었음을 추정하게 합니다.
Artwork Details
- 南宋 佚名 明皇幸蜀圖 軸
- 제목: 명왕행촉도
- 시대: 송 왕조 시대
- 연대: 12세기 중엽
- 지리: 중국
- 재료: 족자, 견본 묵화 채색
- 크기: 82. 8 x 113.6cm
- 크레디트 라인: 로저스 기금, 1941
- 작품 번호: 41.138
- Curatorial Department: Asian Art
More Artwork
Research Resources
The Met provides unparalleled resources for research and welcomes an international community of students and scholars. The Met's Open Access API is where creators and researchers can connect to the The Met collection. Open Access data and public domain images are available for unrestricted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use without permission or fee.
To request images under copyright and other restrictions, please use this Image Request form.
Feedback
We continue to research and examin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for objects in The Met collection. If you have comments or questions about this object record, please complete and submit this form. The Museum looks forward to receiving your comments.
